기전 해석을 위한 고급 전사체 분석 기술 수료증

  • 모집인원9,999명

  • 학습기간2025-09-01 ~ 2027-08-31

로그인하시면 강좌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강좌 소개

테스트 중입니다.

 

충남대학교 의과학과 BK4 맞춤형 교육과정 입니다.

 

강의 주제 강의 명   이론/실습 교수
전사체 데이터 분석  (Bulk RNA, Non-coding RNA, microRNA, scRNA)  1강. 전사체 데이터의 다양성과 정성, 정량적 개념 1주 이론/실습

남진우

(한양대학교)

2강. RNA-seq 데이터 특성과 분석 1
3강. RNA-seq 데이터 특성과 분석 2 
4강. 비암호화 전사체 (non-coding RNA)데이터의 종류와 활용 1 2주
5강. 비암호화 전사체 데이터의 종류와 활용 2
6강. 비암호화 전사체 데이터의 종류와 활용 3 
7강. 단일세포 전사체 개념과 활용  3주
세포주 약물 반응 데이터의 이해와 활용 (*파이썬 및 R프로그래밍 기초 필요 ) 1강. 세포주 약물 반응 데이터의 이해  4주 이론/실습

전민지

(고려대학교)

2강. 세포주 약물 데이터의 활용 5주
3강. 세포주 약물 데이터의 응용
4강. Differential Expressed Genes 실습 6주
5강. L1000 데이터 활용 실습 7주
전사체 네트워크 분석 1강. Cytoscape 활용 8주 실습

황소현

(차의과대학)

단일세포 전사체 (scRNA) 분석법 (*R프로그래밍 기초 필요) 1강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법 9주 이론/실습

최무림

(서울대학교)

2강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
3강 단일세포 전사체 데이터 실습 10주
단일세포전사체를 활용한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 분석(*R프로그래밍 기초 필요) 1강. 단일세포전사체 기술의 특성과 분석 방법 11주 이론/실습

김준일

(숭실대학교)

2강. Seurat을 통한 분석실습
 3강. 단일세포전사체 데이터의 Clustering 분석 실습  12주
4강. 세포 궤적(trajectory) 추론을 위한 Monocle 실습 
5강.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TENET과 SCENIC 실습 13주
6강. 네트워크 이론과 Cytoscape 실습  14주

 

과정 소개

충남대학교 의과학과 BK4 맞춤형 교육과정 입니다.

운영기간 : 2025년 9월 ~ 2027년 8월

분류
  • 주제
  • 분야
    인공지능 & 프로그래밍, 생물학 & 생물정보학
  • 실습
    없음 (이론 강의), 프로그래밍 (R)
  • 활용 단계
교수자/개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