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딥러닝을 활용한 약물 특성 및 생물학적 반응 예측 모델링 수료증
모집인원9,999명
학습기간2025-08-25 ~ 2029-12-31
성명 |
이상선 |
소속기관 |
인하대학교 |
|||
강의 명 (주제) |
딥러닝을 활용한 약물 특성 및 생물학적 반응 예측 모델링 |
|||||
학습목표 |
- 딥러닝 기반 약물 예측 모델의 기본 개념과 구조를 이해한다. - 약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생물학적 반응을 예측하는 다양한 딥러닝 접근법을 학습한다. - 멀티태스크 학습과 단백질-리간드 결합력 예측을 활용한 통합 예측 모델링 기법을 습득한다. |
|||||
분야 |
⍌ AI |
□ Bio |
□ Chem |
⍌ Drug |
||
단계 |
심화 |
목차 (강의시간) |
강의내용 |
실습여부 |
교수자 |
1 |
약물 예측 모델링 개요 및 딥러닝 기초 - 약물 개발 과정에서의 예측 모델의 역할과 중요성을 소개한다. = 딥러닝의 기본 개념과 약물 특성 예측 문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한다. |
X |
이상선
|
2 |
분자 구조의 표현 방법과 딥러닝 입력 처리 - 약물을 컴퓨터적으로 표현하는 주요 방식(SMILES, 분자 그래프, 분자 지문 등)을 소개한다. - 이러한 표현들이 딥러닝 모델의 입력으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알아본다. |
X |
이상선 |
3 |
멀티태스크 기반 약물 반응성 및 property 예측 - 여러 약물 특성이나 반응성을 동시에 예측하기 위한 멀티태스크 학습의 개념을 소개한다. = 공유 표현 학습, 태스크 간 상관성 활용 등 멀티태스크 딥러닝 구조의 원리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단일태스크와의 비교를 통해 장단점을 분석한다. |
X |
이상선 |
4 |
약물-표적 네트워크 기반 예측 = 약물과 표적 유전자 또는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네트워크(그래프) 구조로 모델링하는 접근법을 소개한다. - 그래프 신경망(GNN) 기반 예측 모델과, 약물-표적 간의 관계를 반영한 지식 그래프 또는 바이오 네트워크 기반 모델의 구성 원리와 활용 사례를 이론적으로 분석한다. |
X |
이상선 |
5 |
단백질-리간드 결합력 예측 = 단백질과 약물 분자(리간드) 간의 결합 친화력을 예측하는 문제의 생물학적 및 약학적 중요성을 설명한다. = 딥러닝 기반 구조 예측 모델의 아키텍처와 주요 특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입력 데이터 구성 및 예측 지표에 대해 논의한다. |
X |
이상선 |
선수과목 |
|
||
참고자료 |
※ 도서, 웹사이트, 논문 등 |
||
준비사항 |
※ 강의에 필요한 환경 등 |
-
주제바이오분석기술, 화합물데이터, 약물탐색모델, DTI, 머신러닝
-
분야인공지능 & 프로그래밍, 신약개발 & 제약산업
-
실습없음 (이론 강의)
-
활용 단계Drug Discov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