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본법의 이해와 데이터 거버넌스 최신 동향 Certificate
Recruiting People9,999 people
Learning period10-23-2025 ~ 12-31-2029
| 
 성명  | 
 이재훈  | 
 소속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 
|||
| 
 강의 명 (주제)  | 
 AI기본법의 이해와 데이터 거버넌스 최신 동향  | 
|||||
| 
 학습목표  | 
 AI 시대의 핵심 법제라 할 수 있는 「AI기본법」의 이해를 바탕으로, 데이터 활용과 보호가 균형을 이루는 데이터 거버넌스의 최신 동향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강자는 AI기본법의 주요 개념과 제정 취지를 이해하고, 데이터 권리·책임 구조,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 간 조화, 글로벌 데이터 규제 비교 등을 학습한다. 또한 데이터 거버넌스 최신 동향을 통해 실제 정책·연구·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윤리적 쟁점을 분석하고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
| 
 분야  | 
 ■ AI  | 
 □ Bio  | 
 □ Chem  | 
 □ Drug  | 
||
| 
 단계  | 
 기초  | 
|||||
| 
 목차 (강의시간)  | 
 강의내용  | 
 실습여부  | 
 교수자  | 
| 
 1  | 
 한국과 미국의 규제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바이오제약 관련 규제의 구현 방식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AI시대에 현재 기존 바이오제약 관련 법체계에 관한 구조를 파악한다.  | 
 ×  | 
 이재훈  | 
| 
 2  | 
 기본법이 등장하게 된 국제적·국내적 배경을 살펴보고, 법의 목적·기본 원칙·적용 범위를 이해한다. AI기본법에서 다루는 핵심 개념(고영향인공지능, AI 서비스 제공자·이용자 책임, 안전성 확보 등)을 학습한다.  | 
 ×  | 
 이재훈  | 
| 
 3  | 
 우리나라 AI신약개발과 밀접한 합성생물학육성법의 목적·기본 원칙·적용 범위를 이해한다. 그리고 합성생물학법 상의 AI 관련 바이오파운드리 및 바이오파운드리 산출 데이터 관련 규정을 파악한다.  | 
 ×  | 
 이재훈  | 
| 
 4  | 
 개인정보보호법 등 국내 법제를 통해 데이터 권리·의무 구조를 살펴보고, 데이터 활용과 보호 사이의 갈등 사례를 학습한다. 데이터 거버넌스의 정의와 핵심 요소의 내용을 이해한다.  | 
 ×  | 
 이재훈  | 
| 
 5  | 
 생성형AI를 활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쟁점을 구체적으로 학습하고, 향후 연구개발 및 사업화 등에 미칠 영향을 이해한다. 저작권에 관한 생성형 AI관련 다양한 사례를 파악한다.  | 
 ×  | 
 이재훈  | 
| 
 선수과목  | 
 별도 없음  | 
||
| 
 참고자료  | 
 별도 없음  | 
||
| 
 준비사항  | 
 별도 없음  | 
||
- 
							SubjectBiodata Collection, Biodata Analysis, Machine Learning, Programming, Case Study , Drug Discovery Process
 - 
							Class AreaAI & Programming
 - 
							PracticeNothing
 - 
							Utilize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