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essor
-
Learning Period
09-12-2025 ~ 12-31-2029
Course Introduction
성명 김용호 소속기관 성균관대학교 강의 명 (주제) De Novo Design of Functional Proteins and Cryo-EM Application 학습목표 - 최종목표 : De Novo protein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습득과 Cryo-EM을 통한 구조분석 세부목표1) AI가 단백질 디자인에 가져다준 혁신과 디지인 기법에 대한 기본 지식 습득 세부목표2) 최근 선진화된 단백질 디자인 기법의 습득과 실습 세부목표3) CryoEM의 원리와 구동방식에 대해 학습 세부목표4) Case study 주제를 통한 단백질 디자인의 이해 분야 AI Bio □ Chem Drug 단계 기초
Students
22
인공지능 & 프로그래밍|
생물학 & 생물정보학|
신약개발 & 제약산업|
Professor
-
Learning Period
09-04-2025 ~ 12-31-2029
Course Introduction
성명 김권일 소속기관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강의 명 (주제)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활용한 암 면역원성 분석 실습 학습목표 멀티오믹스 데이터와 AI 기술을 기반으로 암 면역원성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을 이해하고, 신생항원 예측, digital cytometry, 면역세포 클러스터링 등의 분석 기법을 실습함으로써, 공개된 암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활용해 종양의 면역원성 양상을 해석하는 역량을 기른다. 분야 ■ AI ■ Bio □ Chem □ Drug 단계 기초
Students
26
인공지능 & 프로그래밍|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8-29-2025 ~ 12-31-2029
Course Introduction
성명 한범 소속기관 서울대학교 강의 명 (주제) 전장 유전체 데이터를 통한 원인 유전변이 탐색 학습목표 전장유전체데이터(GWAS)를 활용하여 원인 유전변이를 어떻게 탐색하는지 배웁니다. Imputation으로부터 Fine-mapping까지의 과정을 배우고, HLA 지역에서는 어떻게 탐색하는지를 배웁니다. 기존 자가면역질환의 예제를 살펴보고, Mendelian Randomization의 기초도 배웁니다. 분야 □ AI ▣ Bio □ Chem □ Drug 단계 기초
Students
24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8-27-2025 ~ 12-31-2029
Course Introduction
성명 김다원 소속기관 (주)옵토레인 강의 명 (주제) 후성유전체 분석 기반 액체 생검을 활용한 신약 타겟 발굴 학습목표 1. 후성유전체 분석 기술의 핵심 원리와 암 유전체 조절 기전을 이해한다. 2. 액체생검 기반 cfDNA 진단 기술의 원리와 장점을 이해하고, 신약 개발에의 응용 가능성을 설명할 수 있다. 분야 □ AI □ Bio □ Chem □ Drug 단계 기초
Students
14
생물학 & 생물정보학|
신약개발 & 제약산업|
Professor
-
Learning Period
08-20-2025 ~ 12-31-2029
Course Introduction
성명 윤석현 소속기관 단국대학교 강의 명 (주제) 단일세포 RNA-seq 데이터를 이용한 종양/조직 미세환경 분석과 치료 표적 발굴 학습목표 세포유형식별, 세포간 상호작용 분석, 차등발현 유전자 분석, CNV추정 및 암세포 식별 등 단일세포 RNA-seq 데이터의 분석에 요구되는 필수적인 분석 도구들의 활용법 실습을 통해 단일세포 RNA-seq 분석을 위한 기초적인 skill을 습득한다. 또한, SCODA 파이프라인을 활용하여 일괄적으로 획득된 다양한 분석도구의 처리 결과로부터 종양/조직 미세 환경에 내재된 생물학적 기전을 분석하고 치료 표적을 발굴하는 실습을 통해 심화된 단일세포 RNA-seq 데이터의 분석 skill을 습득한다. 분야 □ AI V Bio □ Chem □ Drug 단계 기초/심화
Students
39
생물학 & 생물정보학|
신약개발 & 제약산업|
Professor
-
Learning Period
11-27-2024 ~ 12-31-2029
Course Introduction
성명 정성원 소속기관 가천대학교 강의 명 (주제) 생물정보학 개론 (Introduction to Bioinformatics) 학습목표 생명정보학 분야에 존재하는 다양한 영역을 이해하고 오믹스 데이터 측정에 대한 기초를 학습한다. 생명정보 연구에 활용 가능한 여러 데이터베이스 및 지식베이스 및 그 가치를 이해한다 분야 □ AI v Bio □ Chem □ Drug 단계 기초
Students
660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11-25-2024 ~ 12-31-2029
Course Introduction
성명 빈진혁 소속기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의 명 (주제) ML/AI 기반 유전체-단백체 멀티오믹스 통합분석 방법론 학습목표 최근 바이오텍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레벨의 생명정보 데이터들이 생성 및 축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들을 통합 분석하는 방법론들도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유전체/전사체/단백체 데이터들이 통합되는 방법론과 실제 개발된 툴들을 사용해봄으로써 데이터 통합에 대한 이해 및 경험을 쌓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야 □ AI ■ Bio □ Chem □ Drug 단계 심화
Students
265
인공지능 & 프로그래밍|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11-20-2024 ~ 12-31-2029
Course Introduction
성명 이윤지 소속기관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강의 명 (주제) 생물정보학을 활용한 단백질 간 상호작용 및 복합체 모델링 학습목표 본 강의에서는 AI와 생물정보학 도구를 활용하여 단백질 간 상호작용(PPI)과 단백질 복합체 모델링에 대해 학습한다. 생물학적 서열 분석을 기초로 하여, 단백질 상호작용의 중요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복합체 모델링 기법에 대해 소개한다. 학생들은 서열 분석과 PPI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단백질 복합체를 모델링하는 과정을 배우며, 최신 기술이 이 과정에서 어떻 게 활용되는지, 한계는 무엇인지 이해한다. 분야 □ AI ■ Bio □ Chem □ Drug 단계 기초 / 심화
Students
234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시간 강의내용 실습여부 1 - 면역 체계 - 항체 신약 - 항체의 기능과 구조 2 - 면역 데이터베이스 - 항체 데이터베이스 - 항체 넘버링 X 3 - 단백질 설계 - 항체 구조 예측 - CDR 구조 예측 - 항체 설계 O 4 - 치료용 항체의 면역원성 - 항체 인간화 - 인공지능을 활용한 항체 인간화 구분 X
Students
210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김태민 소속기관 가톨릭대학교 과목명 Big data in precision oncology 강의시간 2 학습목표 1. 대표적인 암유전체데이터베이스인 TCGA/ICGC를 통해 big data의 개요 및 구조를 학습한다 강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입니다. 선수과목 Introduction to NGS data analysis, Genomics analysis, Gene expression analysis, RNA-seq/single cell RNA analysis 참고자료 - 준비사항 -
Students
178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김태민 소속기관 가톨릭대학교 과목명 Cancer genome analysis 강의시간 5 학습목표 1. 암유전체의 대표적인 변이 중 돌연변이(mutation) 및 염색체변이(copy number alteration)에 대한 정의 및 대표적인 연구기법 등을 학습한다. 강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입니다. 선수과목 NGS data analysis, Genomics analysis, Big data in precision oncology 참고자료 준비사항 R+ 기반 실습과목
Students
156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김상우 소속기관 연세대학교 과목명 Genomic Analysis (SNV, SV, CNV) 강의시간 5 학습목표 1. NGS 데이터로부터 다양한 유전자 변이를 탐지해 낼 수 있다2. NGS 데이터로부터 유전 변이를 찾아내는 이론을 이해하고,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강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입니다. 선수과목 서열분석 (Sequencing Analysis) (기초), Introduction to NGS data analysis (중급) 참고자료 x 준비사항 x
Students
179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구희정 소속기관 스탠다임 과목명 Identifying therapeutic targets using biological graph 강의시간 2 학습목표 1. 질병 타겟의 개념 및 타겟 발굴 방법론 전반에 대해 이해한다.2. 기 구축된 타겟 발굴 방법론의 예를 통해 구체적 접근 방법을 이해한다.
Students
70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김태민 소속기관 가톨릭대학교 과목명 Multiomics analysis 강의시간 2 학습목표 1. 대표적인 암유전체데이터베이스인 TCGA data를 통해 multiomics분석의 특성 및 실제 응용기법들을 학습한다. 강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입니다. 선수과목 Gene expression analysis, RNA-seq/single cell RNA analysis, Cancer genome analysis 참고자료 - 준비사항 -
Students
172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정성원 소속기관 가천대학교 과목명 Omics-based Pathway Analysis 강의시간 3 학습목표 1. Pathway analysis 의 목적 및 그 종류에 따른 특징을 이해한다.2. 널리 사용되는 기초적인 pathway analysis 도구의 사용법을 학습하고 추후 다양한 분석 기법의 활용에 도전한다. 강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입니다. 선수과목 - 참고자료 생물정보학 개론, 유전자발현분석, RNA-seq & Single-cell RNA analysis 준비사항 -
Students
169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시간 강의내용 실습여부 1 질병 멀티오믹스 데이터에 클러스터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최신 연구 2 멀티오믹스 데이터 클러스터링 분석의 기초 개념과 적용 사례 3 멀티 오믹스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적용의 기초 개념과 적용 사례 4 NMF 클러스터링 중심의 멀티오믹스 데이터 클러스터링 분석 실습 O 5 MOFA tool을 활용한 멀티오믹스 데이터 클러스터링 분석 및 해석 실습 O 6 PHONEMES tool을 활용한 멀티오믹스 데이터 네트워크 분석 및 해석 실습 O
Students
72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허승룡 소속기관 굿인텔리전스 과목명 단백질 서열정렬 알고리즘 구현 실습 강의시간 2시간 학습목표 단백질 서열 정렬에 대한 이해와 pairwise alignment에 대한 프로그램을 구현 할 수 있다. 강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입니다. 선수과목 Python Programming 참고자료 https://gist.github.com/num3ric/1222752 https://3n.wikipedia.org/wiki/Needleman-Wunsch_algorithm https://en.wikipedia.org/wiki/Smith-Waterman_algorithm 준비사항 python3 설치, Linux terminal 환경
Students
48
생물학 & 생물정보학|
화학 & 화학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김재훈 소속기관 카카오브레인 과목명 단백질 언어 모델을 활용한 컨텍트 예측 강의시간 2시간 학습목표 Pre-training 개념을 이해한다. 단백질 서열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딥러닝 언어 모델에 학습시킬 수 있다. 학습된 결과를 예측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강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입니다. 선수과목 Python 참고자료 논문: Biological structure and function emerge from scaling unsupervised learning to 250 million protein sequences 준비사항 Jupyter notebook 환경
Students
59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김준일 소속기관 숭실대학교 과목명 단일세포전사체를 활용한 유전자조절네트워크 분석 강의시간 6시간 학습목표 본 과목에서는 단일세포전사체를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고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전자조 절네트워크를 재구성하며 이를 Cytoscape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익힌다. 강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입니다. 선수과목 선형대수 분자생물학 프로그래밍기초, , R 참고자료 - 리뷰논문: Current best practice in single-cell RNA-seq analysis: a tutorial/Malte Luecken, Fabian Theis 준비사항 - R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Students
143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시간 강의내용 실습여부 1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개요 및 연구사례 없음 2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의 이해: 16S rRNA gene sequencing 과 Shotgun metagenomic sequencing 없음 3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의 질 평가: 시퀀싱부터 원시데이터 이해 없음 4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결과 해석을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개념: Diversity 및 Taxonomy 없음 5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결과의 이해 및 활용 없음
Students
143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김현욱 소속기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과목명 바이오 네트워크 모델링 강의시간 3시간 학습목표 약물표적 예측을 위한 게놈 수준의 대사모델 구축 및 시뮬레이션에 대한소개 깅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 입니다. 선수과목 생화학 및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 지식 참고자료 준비사항 노트북 등 컴퓨터
Students
47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김현욱 소속기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과목명 바이오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강의시간 1시간 학습목표 바이오 네트워크 및 대사모델 구축을 위한 생물정보학 관련 데이터베이스에대한 소개 깅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 입니다. 선수과목 생화학 및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 지식 참고자료 준비사항 노트북 등 컴퓨터
Students
106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남진우 소속기관 한양대학교 과목명 서열분석(DNA,RNA,Protein) 강의시간 4 학습목표 1. DNA, RNA, Protein 서열의 기본적인 정보처리, K-mer 분석, 통계분석에 대해 이해한다.2. DNA, RNA, Protein의 서열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기본적일 알고리즘을 이해한다. 강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입니다. 선수과목 일반생물학 참고자료 - 준비사항 노트북 웹브라우저
Students
172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성명 김상수 소속기관 숭실대학교 과목명 신약 타겟 발굴을 위한 exome 시퀀싱의 활용 강의시간 4 학습목표 대규모 인구 집단의 유전체 서열 분석을 통해서 신약 타겟을 발굴한 사례를 리뷰하고, 이 에 관련된 생명정보학 기술에 대한 이론적 소개와 함께, 공개된 데이터 및 분석 소프트웨어 를 활용한 실습을 통하여, 유전체학 기반 신약 개발의 기초를 닦음.
Students
56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홍동완 소속기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과목명 알파폴드를 이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 및 평가 강의시간 2시간 학습목표 인공지능 기반 단배길 구조 예측 도구인 알파폴드를 이용하여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실습을 진행하고. 예측된 단백질 구조를 이해하고 이들 결과를 평가할 수있는 능력을 키운다. 강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입니다. 선수과목 단백질 데이터 베이스, 단백질 생물정보학 참고자료 - 도서, 웹사이트, 논문 등 준비사항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Students
168
생물학 & 생물정보학|
Professor
-
Learning Period
03-01-2024 ~ 12-31-2025
Course Introduction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성명 김완규 소속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목명 약물-전사체 기반 약물 기전해석 및 신약재창출 강의시간 3 학습목표 1. 약물-전사체 기반 약물 기전 해석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다.2. 약물-전사체 기반 신약재창출 기법을 이해한다. 강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입니다. 선수과목 차세대 시퀀싱(NGS) 및 오믹스(전사체) 생명정보 분석 기초 (NGS 데이터 및 Pathway 분석, 클러스터링 기초 지식 등) 참고자료 강의 자료 참조 준비사항 노트북 지참 (권장 사항)
Students
72
생물학 & 생물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