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상 약동학 및 약력학의 기초 수료증
- 모집인원999명 
- 학습기간2024-03-01 ~ 2025-12-31 
					강좌 소개				
				강의 소개 및 개요입니다.
| 성명 | 오재성 | 소속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 과목명 | 임상 약동학 및 약력학의 기초 | 강의시간 | 10시간 | 
| 학습목표 | 신약임상개발 과정에서 임상 약동학 및 약력학의 역할을 이해하고 실습을 | ||
강의 선수과목 및 준비사항입니다.
| 선수과목 | 없음 | 
| 참고자료 | Rowland and Tozer's Clinical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 
| 준비사항 | 최신버젼의 R program과 R studio가 설치된 컴퓨터 | 
					과정 소개				
				임상 약동학 및 약력학의 기초 강의 과정입니다.
| 1 | 신약임상개발 과정과 개인별 약물반응의 다양성을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해 이해하고, 신약개발에서의 임상 약동학 및 약력학의 역할에 대해 이해한다. | 
| 2 | 약물 정맥 투여시의 약물동태에 대해 이해하고 다양한 약동학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 있다. | 
| 3 | 약물 정맥 외 투여시(경구, 경피, 피하 투여 등)의 약물동태에 대해 이해하고 다양한 약동학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 있다. | 
| 4 | 단회투여시와 반복투여시의 약물동태의 차이에 대해 이해하고 약동학적 선형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 5 | 정맥지속주입시의 약물동태에 대해 이해하고 다양한 약동학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 있다. | 
| 6 | 약물유전체, 질병, 인구학적 정보 등 개인별 약동학 차이를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해 이해한다. | 
| 7 | 다양한 약물상호작용의 원인에 대해 이해하고 그 임상적 의미와 대처법에 대해 이해한다. | 
| 8 | 신약개발 과정에서 약력학과 바이오마커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 약물의 노출-반응 관계를 이해한다. | 
| 9 | 생물학적 제제와 저분자의약품의 약동학 특성 차이에 대해 이해한다. | 
| 10 | 약물의 노출-독성반응 관계를 이해하고 적정치료농도 범위의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