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성유전체 분석 기반 액체 생검을 활용한 신약 타겟 발굴 수료증
모집인원9,999명
학습기간2025-08-27 ~ 2029-12-31
성명 |
김다원 |
소속기관 |
(주)옵토레인 |
|||
강의 명 (주제) |
후성유전체 분석 기반 액체 생검을 활용한 신약 타겟 발굴 |
|||||
학습목표 |
1. 후성유전체 분석 기술의 핵심 원리와 암 유전체 조절 기전을 이해한다. 2. 액체생검 기반 cfDNA 진단 기술의 원리와 장점을 이해하고, 신약 개발에의 응용 가능성을 설명할 수 있다. |
|||||
분야 |
□ AI |
□ Bio |
□ Chem |
□ Drug |
||
단계 |
기초 |
목차 (강의시간) |
강의내용 |
실습 |
교수자 |
1 |
후성유전체 개요 및 바이오마커 발굴 사례 - DNA 메틸화, 히스톤 변형 등 후성유전체 조절 기전의 이해 - 암 발생과 연관된 후성유전체 변화 특징 - 신약 타겟 바이오마커로서의 활용 |
X |
김다원 |
2 |
액체생검과 cfDNA의 개요 및 적용 - 액체생검의 개요 및 기술적 특징 - 암 진단, 예후, 약물 반응 예측 등 임상적 응용 사례 |
X |
김다원 |
선수과목 |
1. 생명과학 또는 생물정보학 기초 2. 분자진단 또는 정밀의료 기술에 대한 이해 |
||
참고자료 |
1. Yu, X., Zhao, H., Wang, R. et al. Cancer epigenetics: from laboratory studies and clinical trials to precision medicine. Cell Death Discov. 10, 28 (2024). https://doi.org/10.1038/s41420-024-01803-z 2. Dai, W., Qiao, X., Fang, Y. et al. Epigenetics-targeted drugs: current paradigms and future challenges. Sig Transduct Target Ther 9, 332 (2024). https://doi.org/10.1038/s41392-024-02039-0 3. Ma, L., Guo, H., Zhao, Y. et al. Liquid biopsy in cancer: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future prospects. Sig Transduct Target Ther 9, 336 (2024). https://doi.org/10.1038/s41392-024-02021-w 4. Zieren, R.C., Zondervan, P.J., Pienta, K.J. et al. Diagnostic liquid biopsy biomarkers in renal cell cancer. Nat Rev Urol 21, 133–157 (2024). https://doi.org/10.1038/s41585-023-00818-y |
||
준비사항 |
인터넷이 연결된 환경 |
-
주제전사체학, 유전체학, 바이오분석기술, 신약개발사례, 신약개발프로세스
-
분야생물학 & 생물정보학, 신약개발 & 제약산업
-
실습없음 (이론 강의)
-
활용 단계Target Identification